사랑 사자성어 모음 사랑에 대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사랑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상사불망(相思不忘) 사랑하는 남녀가 서로 그리워하며 잊지 못한다는 뜻. 2. 상애상조(相愛相助) 서로 사랑하고 서로 돕는다는 뜻. 3. 색수혼여(色授魂與) 아름다운 용모가 내 눈에 비쳐서 나의 넋이 아름다운 용모에 빠진다는 뜻. 4. 심심상인(心心相印) 마음과 마음에 서로를 새긴다는 뜻. 5. 연연불망(戀戀不忘) 안타까운 마음으로 잊지 못하고 그리워한다는 뜻. 6. 연모지정(戀慕之情) 사랑하여 그리워하는 정을 뜻함. 7. 옥오지애(屋烏之愛) 사랑하는 사람의 집에 있는 까마귀조차도 귀여워한다는 말로, 지극한 애정을 뜻함. 8. 애지중지(愛之重之) 매우 사랑하고 소중히 여긴다는 뜻. 9. 오매불망(寤寐不忘) 자나 깨나.. 성어속담 2023. 8. 24. 간담상조 유래 간담상조 뜻 간담상조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간담상조는 어떤 뜻일까요? 간담상조 유래와 간담상조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인다는 말로, 서로 진심을 터놓고 격의없이 사권다는 의미이며, 마음이 잘 맞는 절친한 사이를 일컫는 말이기도 합니다. ※ 간담상조(肝膽相照)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인다는 말로, 서로 진심을 터놓고 격의없이 사귐. 마음이 잘 맞는 절친한 사이. 따라서 간담상조는 반드시 친구 사이가 아니라도 서로 마음이 잘 통하고 허물없이 지내는 사이라면 간담상조하는 사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간담상조의 개별 한자의 뜻은 (肝 : 간 간) (膽 : 쓸개 담) (相 : 서로 상) (照 : 비출 조)입니다. 출전은 중국 유자후묘지명입니다. 당나라 때에 명문으로 이름난 '한유'와 '유종원.. 성어속담 2023. 8. 18. 일각 여삼추 뜻 일각 여삼추라는 한자성어가 있는데요, 일각 여삼추는 어떤 뜻일까요? 일각 여삼추의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기다리는 마음이 간절하여 아주 짧은 시간도 삼 년같이 길게 느껴진다는 뜻입니다. ① 일각(一刻) 매우 짧은 시간. ② 여삼추(如三秋) 3년과 같이 시간이 길게 느껴짐. ③ 일각여삼추(一刻如三秋) 기다리는 마음이 간절해 아주 짧은 시간도 삼 년같이 길게 느껴짐. (예) 그는 일각여삼추로 아내를 기다린다. (예) 그녀는 일각여삼추로 남편을 기다린다. (예) 고향 갈 날을 일각여삼추로 기다린다. (예) 오랜만에 여자친구를 만나려니 일각이 여삼추였다. ①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 몹시 애태우며 기다려 하루가 삼 년 같음. ② 일일삼추(一日三秋) 몹시 애태우며 기다려 하루가 삼 년 같음. ③ 하루가 여삼추라.. 성어속담 2023. 8. 9. 바람앞에 촛불 등불 사자성어 바람앞에 촛불 또는 바람앞에 등불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바람앞에 촛불, 바람앞에 등불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풍전등화'와 '풍전등촉'입니다. ① 풍전등화(風前燈火) 바람 앞의 등불(촛불)이라는 말로, 매우 위태로운 처지나 오래 견디지 못할 상태를 뜻함. ② 풍전등촉(風前燈燭) 바람 앞의 등불이라는 말로, 매우 위태로운 처지나 오래 견디지 못할 상태를 뜻함. 참고로 풍전등화(풍전등촉)와 의미가 비슷한 사자성어로는 '백척간두'를 들 수 있습니다. ※ 백척간두(百尺竿頭)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말로, 더할 수 없이 어렵고 위태로운 지경을 뜻함. 출전을 알 수 없으므로 유래 또한 별도로 전해진 바가 없습니다. 이에 백제 말기 의자왕 때 나라 사정이 풍전등화였으므로.. 성어속담 2023. 8. 5. 오월동주 뜻 오월동주 유래 '오월동주'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오월동주는 어떤 뜻일까요? 오월동주 뜻, 오월동주 유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다는 말로, 원수지간이라도 같은 처지에 놓이면 서로 돕는다는 뜻입니다. ※ 오월동주(吳越同舟) 원수지간이라도 같은 처지에 놓이면 서로 도움. (예) 뜻이 달라도 이익 때문에 오월동주할 수 있다. (예) 이왕 같은 처지가 되었는데 우리 오월동주합시다. 한문으로는 吳越同舟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吳 : 오나라 오) (越 : 월나라 월) (同 : 한가지 동) (舟 : 배 주)입니다. 출전은 손자병법입니다. 중국 춘추시대 손무는 병법을 기록한 책인 '손자'를 쓰기도 했지만, 오나라 임금 합려를 도와 서쪽으로는 초나라, 북쪽으로 는 제나라와 진나라를 .. 성어속담 2023. 8. 1. 대기만성 뜻 대기만성 유래 및 한자 '대기만성'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대기만성은 어떤 뜻일까요? 대기만성 뜻, 대기만성 유래, 대기만성 한자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말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뜻하는 말입니다. ※ 대기만성(大器晩成)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 大器晩成(대기만성)으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大 : 큰 대) (器 : 그릇 기) (晩 : 늦을 만) (成 : 이룰 성)입니다. 위나라에 조조 부하 가운데 최염이라는 유명한 장군이 있었다. 인품도 좋고 재주도 뛰어나서 주위 사람들이 모두 좋아했을 뿐만 아니라, 조조도 그를 믿고 그에게 일을 맡겼다. 최염의 사촌 동생인 최림도 재주가 뛰어났으나 얼굴이 못생겨서 출세를 하지 못하고 늘 멸시만 당하곤 했다... 성어속담 2023. 7. 29. 물이 너무 맑으면 큰 고기가 없다 뜻 한자성어 물이 너무 맑으면 큰 고기가 없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물이 너무 맑으면 큰 고기가 없다는 어떤 뜻일까요? 또 한자성어는 무엇일까요? 물이 너무 맑으면 큰 고기가 없다는 뜻 및 한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람이 지나치게 똑똑하거나 너무 깨끗하면 남들이 가까이하기가 어렵다는 뜻입니다. 즉, 너무 원칙대로만 하는 사람은 사람들과 가깝게 지내기가 어렵다는 뜻이지요. '수청무대어'입니다.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는 물이 너무 맑으면 큰 고기가 없다는 말로, 사람이 지나치게 똑똑하거나 엄 하면 남이 가까이하기가 어렵다는 뜻입니다. ※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물이 너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없다는 말로, 사람이 지나치게 똑똑하거나 엄하면 남들이 가까이하기가 어렵다는 뜻. 반고는 전한 시대 역사를 기록한 '한서'를 .. 성어속담 2023. 7. 23. 과유불급 뜻 과유불급 한자 과유불급 유래 '과유불급'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과유블급은 어떤 뜻일까요? 과유불급 뜻, 과유불급 한자, 과유불급 유래에 대해 살 펴보겠습니다. 정도가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즉, 욕심이 너무 지나치면 오히려 화가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모든 일은 적 당한 것이 좋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한자는 過猶不及으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過 : 지날 과) (猶 : 같을 유) (不 : 아니 불) (及 : 미칠 급)입니다. 출전은 논어입니다. 하루는 자공이 스승 공자에게 물었다. "스승님! 자장과 자하 가운데 누가 더 현명합니까?" 자장과 자하 모두 공자의 제자였지만, 자장은 제후를 섬겨 자기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리고 싶어하는 사람이었고, 자하는 지식을 얻어 자기 수양에 힘쓰고 싶은 사람이었다. .. 성어속담 2023. 7. 14. 기화가거 기화 뜻 '기화가거'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기화가거'와 '기화'는 어떤 뜻일까요? 기화가거 기화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기화(奇貨)는 진귀한 재물 또는 보배를 뜻합니다. ※ 기화(奇貨) 진귀한 재물 또는 보배. 진기한 물건은 잘 간직하여 나중에 이익을 남기고 판다는 말로,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 기화가거(奇貨可居) 진기한 물건은 잘 간직하여 나중에 이익을 남기고 판다는 말로,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뜻. 한문으로는 奇貨可居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입니다. 한나라 장사꾼인 여불위는 장사하러 조나라의 도읍 한단으로 가서 우연히 진나라 소양왕 손자인 자초가 볼모로 잡혀 와 있 다는 것을 알았다. 이때 여불위의 머리가 비상하게 돌아갔다. "이것이야 말로 진기한 보배다. 훗.. 성어속담 2023. 7. 7. 어부지리 뜻 어부지리 유래 어부지리는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사자성어인데요, 어부지리는 정확하게 어떤 뜻일까요? 또 어부지리는 어떻게 유래되 었을까요? 어부지리 뜻, 어부지리 유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직역하면 '어부가 얻은 이익'이라는 말인데요, 현재는 둘이 서로 싸우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용됩니 다. ※ 어부지리(漁父之利) 둘이 서로 싸우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얻는다는 뜻. 한문으로는 漁父之利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漁 : 고기잡을 어) (父 : 아비 부) (之 : 갈 지) (利 : 이로울 리)입니다. 출전은 전국책(戰國策)입니다. 중국 전국시대 이야기다. 제나라에 많은 병사를 보낸 연나라가 갑자기 흉년이 들어 먹을 것이 모자랐다. 이 소식을 들은 이 웃 조나라 혜문왕은 연나라를 치려고 준비하.. 성어속담 2023. 7. 5.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한자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는 의미를 지닌 한자는 무엇일까요?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한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 다. 아무리 익숙하고 잘하는 사람이라도 때로는 실수할 수가 있다는 뜻. 천려일실'입니다. 천려일실(千慮一失)은 아무리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여러 가지 생각 가운데 한 가지쯤은 잘못된 것이 있 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① 천려일실(千慮一失) 아무리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여러 가지 생각 중에 한 가지쯤은 잘못된 것이 있을 수 있음. 천려일실'의 반대말은 '천려일득(千慮一得)입니다. ② 천려일득(千慮一得) 천 번을 생각해 하나를 얻는다는 말로,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생각을 많이 하면 한 가지쯤은 좋은 생각이 나올 수 있다는 뜻. ① 나무 잘 타는 잔나비 나무에서 떨어진다. 아무리 익숙하여 잘하는 일이라도.. 성어속담 2023. 6. 20. 사람은 겪어봐야 안다 사자성어 사람은 겪어봐야 안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사람은 겪어봐야 안다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람은 겪어봐야 안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없습니다. 그러나 한자성어는 있는데요, 사람은 겪어봐야 안다는 의미를 지닌 한자성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수심가지 인심난지(水深可知 人心難知) 물의 깊이는 알 수 있으나 사람의 마음 속은 알기 어렵다는 뜻. ② 로요지마력 일구견인심(路遥知馬力 日久見人心) 길이 멀면 말의 힘을 알게 되고, 세월이 오래되면 사람의 마음이 드러난다는 뜻. ① 사람은 지내봐야 안다. 사람의 마음이란 겉으로 언뜻 보아서는 알 수 없으며 함께 오랫동안 지내보아야 알 수 있다는 뜻. ② 사람을 알자면 하루 길을 같이 가 보라. 사람의 마음이란 겉으로 언뜻 보아서는 알 수 없.. 성어속담 2023. 6. 1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