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오제란? 삼오제 뜻 장례와 관련된 용어 중에 삼오제란? 말이 있는데요, 삼오제란? 어떤 뜻일까요? 삼오제 뜻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고인의 혼백을 평안하게 해주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로서 고인이 돌아가신 뒤에 세 번째로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오늘날에는 흔히 고인이 돌아가신 날로부터 5일째 되는 날에 삼오제를 지냅니다. 그런데 '삼오제'라는 말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삼오제'가 아니라 '삼우제(三虞祭)'가 정확한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① 삼오제 (X)삼우제(三虞祭)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② 삼우제 (O)고인이 돌아가신 뒤에 세 번째로 지내는 제사를 의미하는 말로 표준어입니다. 요즘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로부터 5일째 되는 날에 삼우제를 지냅니다. (예) 할머니 삼우제를 지내고 탈상 했다. (O)(예) 할머니 삼오제.. 일반상식 2024. 8. 25. 골때리다 골 때리다 뜻 '골때리다'는 말이 있는데요, '골때리다'는 어떤 뜻일까요? 골때리다 뜻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속된 말로) 어떠한 상황이나 사람의 언행이 너무나 어이없고 터무니없다는 뜻입니다. ※ 골때리다어떠한 상황이나 사람의 언행이 너무나 어이없고 터무니없다. (주로 젊은이들이 많이 사용하며 속된 표현으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등재되지 않은 말입니다) (예) 어제 아주 골때리는 일이 있었다.(예) 그는 골때리는 행동을 자주 한다.(예) 그는 술만 먹으면 정말 골때린다.(예) 오늘 아침에 골때리는 사람을 봤다.(예) 그녀는 골때리는 행동으로 구설수에 올랐다.① 황당하다전혀 생각하지 못한 것이거나 현실성이 없어 어찌할 도리가 없을 정도로 어이없고 터무니없다. (예) 그의 말은 너무나 황당했다.(예) 그녀의 .. 일반상식 2024. 8. 16. 손톱은 뼈 손톱은 뼈인가요 단백질인가요 손톱은 뼈인가요? 아니면 손톱은 단백질일까요? 손톱은 뼈인지 단백질인지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손톱은 뼈가 아니라 단백질입니다. 손톱은 뼈가 아니라 단백질 성분의 피부가 단단하게 변한 것입니다. 손톱은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손가락 끝의 단백질 성분의 피부가 단단하게 변한 것으로 '케라틴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지방과 수분입니다. 발톱도 마찬가지로 발가락 끝의 단백질 성분의 피부가 단단하게 변한 것으로 '케라틴'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90%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지방과 수분입니다. 손톱과 발톱은 머리카락처럼 감각을 느끼지 못하므로, 잘라도 통증이 전혀 느껴지지 않습니다. 물에 잘 녹지 않으며, 단백질분해효소에도 분해되지 않으며, 시약에도 저항력이.. 일반상식 2024. 7. 26. 인공지능 관련 직업 인공지능 대체 직업 인공지능 대체 불가 직업 상식 마침내 인공지능이 사람의 영역을 대신하는 시대가 도래되었습니다. 장차 인공지능 관련 직업은 어떻게 될까요? 인공지능 대체 직업, 인공지능 대체 불가 직업 등과 같은 인공지능 관련 직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공지능으로 대체할 수 있는 직업의 순위를 15위까지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1위 : 콘크리트공- 2위 : 정육원 / 도축원- 3위 :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조립원 - 4위 : 청원경찰- 5위 : 조세행정사무원 - 6위 : 물품이동 및 장비조작원- 7위 : 경리사무원- 8위 : 환경미화원 / 재활용품수거원- 9위 : 세탁관련 기계조작원- 10위 : 택배원 - 11위 : 과수작물 재배원- 12위 : 행정·경영지원 관련서비스- 13위 : 주유원 - 14위 : 부동산 중개인- 15위 : .. 일반상식 2024. 7. 20. 고소와 고발 의 차이 고소와 고발은 주변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데요, 고소와 고발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고소와 고발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고소'는 당사자인 '고소권자'가 수사기관(경찰서나 검찰청)에 범죄사실을 신고하는 것이며, '고발'은 '고소권자'와 '범인 이외의 사람'이 수사기관에 범죄사실을 신고하는 것입니다. ① 고소 (告訴)고소는 당사자인 고소권자가 수사기관(경찰서나 검찰청)에 범죄에 관해 사실을 신고하는 것입니다. 즉, 범죄 피해자나 범죄 피해자의 법정대리인이 수사기관에 범죄 사실을 신고하여 법적인 처리를 요구하는 것입니다. 고소를 할 수 있는 사람은 범죄의 피해자와 법정대리인 또는 그와 일정한 관계가 있는사람이며, 서면이나 구술로 고소할 수 있습니다. 고소하는 기간은 제한이 없으나 친고죄의 경우는 .. 일반상식 2024. 7. 10. 팔을 걷어붙이다 뜻 '팔을 걷어붙이다'는 말이 있는데요, '팔을 걷어붙이다'는 어떤 뜻일까요? 팔을 걷어붙이다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팔을 걷어붙이다'는 관용구로서, '어떤 일에 뛰어들어 적극적으로 일할 태세를 갖추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 팔을 걷어붙이다 (관용구)어떤 일에 뛰어들어 적극적으로 일할 태세를 갖추다. (예) 그는 이번 일에 팔을 걷어붙이며 나섰다.(예) 아내는 팔을 걷어붙이고 장사를 시작했다.(예) 그는 동네일이라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다. ① 팔소매를 걷다어떤 일에 뛰어들어 적극적으로 일할 태세를 갖추다. ② 팔소매를 걷어붙이다어떤 일에 뛰어들어 적극적으로 일할 태세를 갖추다. ③ 팔뚝을 걷어붙이다.무슨 일에 적극적이다. '팔을 걷어붙이다'는 의미로 '팔을 걷어부치다'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 일반상식 2024. 6. 27. 어림없다 어림도 없다 어림도 없지 뜻 '어림없다, 어림도 없다, 어림도 없지'라는 말을 자주 접하는데요, '어림없다 어림도 없다 어림도 없지'는 어떤 뜻일까요? '어림없다 어림도 없다 어림도 없지'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① 어림없다도저히 될 가망이 없다. / 너무 많거나 커서 대강 짐작조차 할 수 없다. / 분수가 없다. ② 어림도 없다'어림없다'의 잘못된 표현. ③ 어림도 없지'어림없지'의 잘못된 표현. 우리는 '어림없다'를 '어림도 없다'라고 표현하곤 하는데요, '어림'은 '대강 짐작으로 헤아림. 또는 그런 셈이나 짐작'을 뜻하는 명사이기 때문에 '어림도 없다'를 풀어보면 '대강 짐작으로 헤아림도 없다'가 되어 말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어림도 없다(없지)'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도저히 될 가망이 없다'는 말을 표현할 때는.. 일반상식 2024. 6. 20. 최후의 보루 뜻 보루의 뜻 '최후의 보루'라는 말이 있는데요, 최후의 보루는 어떤 뜻일까요? 또 '보루'는 어떤 뜻일까요? 최후의 보루 뜻, 보루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끝까지 지켜야 할 대상, 명분, 가치 등을 뜻합니다. ① 최후(最後)맨 마지막. ② 보루(堡壘)지켜야 할 대상. ③ 최후의 보루끝까지 지켜야 할 대상이나 명분 또는 가치. (예) 이 공장은 우리에게 최후의 보루다.(예) 이 땅은 우리 가문에게 최후의 보루다.(예) 이 집은 나에게 최후의 보루나 마찬가지다. 두 가지 의미로 쓰입니다. ①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돌이나 콘크리트 따위로 튼튼하게 쌓은 구축물.(예) 우리는 이 보루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예) 적의 침입에 대비하여 보루를 쌓고 있다.(예) 이 보루는 적으로부터 우리를 지켜 줄 것이다. ②.. 일반상식 2024. 6. 8. 넘어짐 한자 넘어지다 한자로 알아봐요 '넘어지다'를 한자로는 어떻게 표현할까요? 넘어지다의 한자어를 생각하면 '낙상'이 떠오르는데요, 넘어지다를 의미하는 한자어는 의외로 많습니다. 이에 넘어짐 한자, 넘어지다 한자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강부(僵仆)엎어지고 넘어짐. 2. 경도(驚倒)몹시 놀라서 넘어짐. 3. 궐지(蹶躓)발을 헛디디거나 무엇에 걸려서 넘어짐. 4. 낙상(落傷)떨어지거나 넘어져서 다침. 5. 실족(失足)발을 헛디딤. 6. 실족사(失足死)산이나 다리 따위에서 발을 헛디뎌 떨어져 죽음. 7. 전도(顚倒)엎어져 넘어지거나 넘어뜨림. 8. 전부(顚仆)엎어져 넘어지거나 넘어뜨림. 9. 절도(絕倒)까무러쳐 넘어짐. 10. 졸도(卒倒)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짐. 11. 질도(躓倒)발을 헛디디어 넘어짐. 12. .. 일반상식 2024. 5. 19. 염병하네의 뜻 알아볼까요? 우리는 간혹 '염병하네'라는 말을 쓰거나 듣곤 하는데요, '염병하네'는 도대체 어떤 뜻일까요? 염병하네의 뜻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매우 못마땅하다'는 뜻입니다. '염병하네'의 기본형은 '염병하다'인데요, 주로 '염병하고 있네, 염병하네, 염병할 놈' 등으로 쓰여 '어떤 대상이나 상황, 여건 등이 매우 못마땅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예) 염병하네.(예) 염병하고 있네!(예) 염병하지 마라.(예) 염병 떨지 마라.(예) 염병할, 너무 덥네. (예) 염병할 놈 같으니! '염병'은 전염병이나 장티푸스를 뜻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염병하다'는 '염병(전염병이나 장티푸스)을 앓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런데 그 의미가 확장되면서 '염병을 앓을 정도로 재수가 없으므로 매무 못마땅하다'는 뜻이 .. 일반상식 2024. 5. 17. 세균이 사는 곳 세균이 가장 많은 곳 세균이많은물건 세균은 모든 장소에서 서식하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 주로 세균이 사는 곳은 어디일까요? 세균이 사는 곳, 세균이 가장 많은 곳, 그리고 세균이많은물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문 손잡이모든 건물의 문 손잡이에는 만여 마리에 달하는 박테리아가 득실거는데요, 이는 변기의 4배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그렇다고 문 손잡이를 잡지 않을 수도 없으니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히 씻는 것이 좋습니다. ② 냉장고 야채 칸냉장고 야채 칸에는 변기보다도 10배나 많은 세균이 득실거린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③ 침대 매트리스침대 매트리스에는 공중화장실 변기보다 16배나 많은 세균이 서식한다고 합니다. 따라서매트리스를 자주 햇볕에 말려 소독하는 것이 좋습니다. ④ 사무실 책상미국의 애리조나대학 연구팀의 조사에.. 일반상식 2024. 5. 13. 공동주택 종류 공동주택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는데요, 공동주택에는 어떤 종류들이 있을까요? 공동주택 종류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① 다세대주택광의의 개념으로는 여러 세대의 주거에 이용되는 주택이 구획된 공간별로 소유자가 각각 있어 집합건축물대장에 등재되는 주택으로 아파트, 연립, 다가구주택 등이 모두 포함되지만, 협의의 개념으로는 공동주택이 4층 이하이며, 주택 연면적 합계가 660㎡이하인 경우를 뜻합니다. (전체적인 규모가 연립주택보자 작은 공동주택) ② 연립주택광의의 개념으로는 다세대주택이지만, 통상적으로 연립주택이라고 부르는 건축물은 공동주택이 4층 이하이고, 주택 연면적 합계가 660㎡를 초과하는 주택을 뜻합니다. (전체적인 규모가 다세대 주택보다는 크고 아파트보다 작은 공동주택) ③ 아파트.. 일반상식 2024. 5. 3. 이전 1 2 3 4 5 6 7 다음